1.10) 반복문
반복문은 어떠한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문법이다.
기본 형태
기본 형태는 이처럼 생겼다.
for (초기식; 조건식; 증감식) {
// 실행문
}
초기식
: 반복문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변수(couter 변수)를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이다.조건식
: 반복을 계속할지 판단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식이다. 조건식이true
일 경우 실행문이 실행되며,false
가 되면 반복문이 종료된다. 일반적으로 변수의 값이 특정 범위를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조건이 들어간다.증감식
: 한 번의 반복이 종료될 때마다 counter 변수를 업데이트(증가/감소)하기 위해 사용된다.
예제
for (let i = 0; i < 5; i++) {
console.log(i); // 0, 1, 2, 3, 4 출력
}
특수 키워드
break
: 조건식이true
인 경우에도 강제로 종료하고 싶다면break
를 사용한다.continue
: 반복의 특정 회차를 건너뛰고 싶은 경우continue
를 사용한다.
예제
for (let i = 0; i < 5; i++) {
if (i === 2) {
continue; // i가 2일 때 해당 회차 건너뜀
} else if( i === 4) {
break;
}
console.log(i); // 0, 1, 3 출력
}
1.11) 함수
코드를 짜다보면, 유사한 기능을 하는 코드들을 중복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진다. 이럴 때 유사한 기능의 코드를 함수로 만들어두면 유지보수성과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.
함수 기본 구조
먼저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function 함수 이름 (parameter1, parameter2, .... ,) { //매개변수들
//실행문
...
return 반환값; //함수 호출의 결과이다.
}
이 때 파라미터의 값은 let
이나 const
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선언하고 싶은 변수의 이름만 써주면 된다.
함수 호출하기
함수를 선언한다고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고, 함수를 호출한 경우에만 함수 내부의 코드가 실행된다.
함수이름(argument1, argument2,...); //인수들
1.12) 함수 표현식과 화살표 함수
함수 표현식
함수 표현식으로 만든 함수는 호이스팅의 대상이 아니다.
let varB = function () {
console.log('funcB');
}
화살표 함수
let varC = () => 1;
console.log(varC); // 1
1.13) 콜백함수
콜백 함수란,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함수에 인수로서 전달된 함수를 의미한다.
function main(value){
value(); // sub 함수 호출 -> 'sub'출력!
}
function sub() {
console.log('sub');
}
main(sub); // 여기서 sub를 콜백 함수라고 한다.
1.14) 스코프
스코프란 "범위"라는 뜻으로, 변수
나 함수
에 접근하거나 호출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.
스코프의 종류
- 전역 스코프:전체 영역에서 접근 가능
- 지역 스코프: 특정 영역에서만 접근 가능
'한 입 리액트 챌린지 [3기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y4] 1.15 ~ 2.2 정리 (1) | 2025.02.01 |
---|---|
[Day 2] 1.6 ~ 1.9강 수강 (1) | 2025.01.15 |
[Day1] 1.1) ~ 1.5) 강 수강 (1) | 2025.0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