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밍에서 코드는 입력된 값에 따라 의사 결정을 내리고,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. 이러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게 조건문이다. 조건문에서 사용되는 비교 연산자와 등호 연산자를 공부해보자.
부등호 연산자
비교 연산자는 비교 연산자 양 옆의 두 값(피연산자)을 비교하여 true
또는 false
를 반환한다.
>
: 크다(greater than)<
: 작다(less than)>=
: 크거나 같다(greater than or equal to)<=
: 작거나 같다(less than or equal to)
예제
1 > 2 // false
2 < 8 // false
문자열 비교
이 때 피연산자에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열
도 들어갈 수 있다. 문자열이 들어가는 경우, 문자의Unicode
값을 기준으로 판단한다.
'a' < 'b' // true
a
와 b
는 Unicode 값으로 각각 97
과 98
이므로 'a' < 'b'
는 true
가 된다.
등호 연산자
등호에는 두 가지가 있다 이중 등호(==) 와 삼중 등호(===) 이다. 두 등호의 차이점을 알아보자.
동등 연산자 (==
)
- 이중 등호를 사용하면 두 피연산자의 타입은 구분하지 않고, 값이 같은지 다른지 판단한다. 두 값의 타입이 다르다면 강제로 형변환을 한 뒤에 펴가한다.
-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
console.log(1 == '1'); // true (문자열 '1'이 숫자 1로 변환됨)
console.log(0 == ''); // true (빈 문자열이 숫자 0으로 변환됨)
console.log(null == undefined); // true
엄격 동등 연산자 (===
)
- 삼중 등호를 사용하면 타입을 구분하고, 값과 타입 모두 비교한다. 따라서 형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.
console.log(1 === '1'); // false (타입이 다름)
console.log(1 === 1); // true
console.log(null === undefined); // false
비동등 연산자
!=
: 값만 비교하며,타입은 무시한다.!==
: 값과 타입을 모두 비교한다.
console.log(1 != '1'); // false (값이 같으므로)
console.log(1 !== '1'); // true (타입이 다르므로)
정리
연산자 | 비교 기준 | 형 변환 수행 | 예제 결과 |
---|---|---|---|
== |
값만 비교 | O | 1 == '1' → true |
=== |
값과 타입 모두 비교 | X | 1 === '1' → false |
'기초 학습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JavaScript 함수 기초 (0) | 2025.01.30 |
---|---|
[JS] 객체 리터럴 (0) | 2025.01.23 |
[JS] 자바스크립트의 배열 (1) | 2025.01.22 |
[JS] Null과 Undefined (0) | 2025.01.21 |
[JS] JavaScript의 문자열 정리 (규칙, 메서드, 템플릿) (0) | 2025.01.19 |